수요기관(공공기관)과 조달청 계약을 할떄는 나라장터 전자시스템을 이용해서 계약체결하게 되는데요
전체적인 계약흐름부터 알려드릴게요 물품에 대한 계약을 한다고 가정하구요
물품계약에서 대금지급까지의 큰 흐름
1. 기관에서 물품계약서 초안을 작성하고 조달업체로 보낸다
2. 조달업체에서 그 초안을 받고 응답서를 다시 기관으로 보낸다
3. 기관에서 응답서를 받고 계약서의 승인을 통보하면서 계약체결된 물품계약서를 업체에게 보낸다.
4. 업체에서 물품을 납품하고 검사검수요청서를 작성하여 기관에게 보낸다
5. 기관에서 검사처리와 검수처리를 하고나서 물품납품및영수증을 업체에게 보낸다
6. 조달업체는 세금계산서와 대금청구서를 작성하여 기관에게 지급요청을 한다.
7. 기관에서는 물품대금을 업체에게 지급처리한다.
물품계약서 초안 응답하기
수요기관(공공기관)에서 계약서 초안을 보냈다고 하면 그 다음에 할일은 그 계약서 초안에 대한 응답서를 보내는 일입니다.
나라장터 접속해서 인증서 로그인을 먼저 해줍니다. 조달업체업무라는 메뉴를 찾고 물품메뉴로 이동합니다.
물품메뉴를 펼치면 계약관리라는 메뉴가 나오구요 계약관리메뉴에서 계약체결관리로 이동하고 다시 계약체결로 이동합니다.
문서구분을 물품계약서초안으로 찾아보면 해당 계약건이 뜰꺼예요 안뜨는 경우에는 기관쪽에 초안 안왔다고 전화하시면 됩니다.
해당 체결건의 초안의 계약건명을 클릭하고 들어 갑니다
그럼 이렇게 물품계약서 초안 내용이 나와요 계약구분 계약기간 금액을 잘 확인하시구요 인지세확인하셔서 인지세가 있다면 납부도 해야 해요 인지세 납부 방법은 바로 뒤에 나오는 응답서 작성 화면 설명란에 링크달아져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계약초안서 화면 젤 밑으로 쭉 내리면 계약응답서작성 버튼이 있구요 응답서를 작성해서 다시 기관으로 보내야 하니까 버튼을 눌러주시면 됩니다. 근데 계약서 초안은 출력해서 보관해두세요 출력버튼도 있습니다.
물품계약초안 응답서 화면이 나오구요 문서기능에 원본, 응답유형을 수용으로 해두시면 되구요 채권정보와 인지세 정보를 보시고 납부하실꺼 있으면 납부해야 계약체결이 됩니다. 인지세납부방법은 아래 링크를 클릭해서 확인해주세요
채권은 도시철도채권일 경우에만 매입신청을 하시면 됩니다
https://llmskll.tistory.com/31
계약서 작성시 인지세 납부 가격 및 작성방법과 오류발생시 대처
인지세란 종이를 발행할때 내는 세금 , 문서 작성하는 경우 문서에 대한 인지세라고도 한다. 수입인지의 용도는 인지세법에서 규정한 과세문서의 인지세 납부, 각 개별 법령이나 각 정부기관의
llmskll.tistory.com
인지세와 채권문제가 해결됐다면 다시 응답서 화면으로 돌아가서 응답서 화면 젤 밑에 보면 저장버튼이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계약내용을 한번 더 검토확인하시고 맞으면 저장버튼을 누르세요
저장버튼 눌렀다고 응답서가 발송된건 아닙니다. 다음화면을 기다리시구요
다음화면에서 송신버튼까지 눌러야 공공기관에게 응답서가 전송이 됩니다.
다음 포스팅은 계약체결 후 검사검수 요청서 작성하는 방법에 대해 진행하겠습니다.
'나라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나라장터 대금청구서요청을 위한 물품납품 및 영수증 접수 (0) | 2023.08.18 |
---|---|
나라장터 검사검수요청 조회 및 작성 방법 (0) | 2023.08.16 |
개찰결과 낙찰하한선 미달 이유와 예정가격 계산 방법 (0) | 2023.08.01 |
수의계약을 진행 하기 전 전자시담 방법 및 절차 (0) | 2023.07.29 |
조달청입찰 취소 가능여부와 하는 방법 (0) | 2023.07.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