캔들이 차트의 가장 기본적인 요소인데요 차트의 기본기부터 탄탄하게 하고 차트공부를 시작해보세요
이번 시간에는 캔들의 기본부터 해서 실제 차트에 적용되는 것까지 알아볼게요
캔들 색깔 설정은 본인이 마음대로 정하기는 하는데 보통 양봉을 붉은색으로 음봉을 퍼런색으로 설정합니다.
캔들이란?
주식이나 코인시장에서 사용되는 차트에서 캔들차트를 기본적으로 보게 되는데요
캔들은 주가의 움직임을 시각적으로 표현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캔들은 시가, 종가, 고가, 저가로 형성되고 주가 움직임을 시각적으로 분석하기 용이한 방식으로 만들어졌습니다.
시가는 거래가 시작될 떄의 가격, 종가는 거래가 마무리될 떄의 가격, 고가는 거래시간 내에 가장 높은 가격, 저가는 거래시간 내 가장 낮은 가격을 표시합니다.
음봉과 양봉
양봉 : 시가보다 종가가 높게 형성되는 캔들입니다
음봉 : 시가보다 종가가 낮게 형성되는 캔들입니다
캔들이 만들어지는 과정 - 양봉
1. 장대양봉
장대양봉은 꼬리 없이 몸통이 꽉 찬 양봉의 경우 매수세가 매도세보다 강해 주가가 상승한 것을 의미하며 긍정적인 신호로 간주됩니다. 시가와 저가가 같으며 종가와 고가 또한 같습니다.
2. 위꼬리장대양봉
양봉 몸통의 시가쪽에 꼬리 없고 종가쪽에만 꼬리가 있는 모습이빈다.
매수새로 가격을 올리다가 후에 매도세로 눌러 꼬리가 생겨 버렸군요
3. 숏바디 양봉
양봉 몸통 시가와 종가쪽에 꼬리가 있는 모습, 캔들 몸통이 꼬리보다 긴 경우의 모습입니다.
매도세가 붙었으나 금새 회복하고 최고가를 찍었는데 다시 매도세가 붙어 약간 눌러진 상태로 종결됐습니다.
4. 아래꼬리 장대양봉
시가쪽에만 꼬리가 있는 모습입니다.
중간쯤에서 주가가 시작됐는데 매도세로 밀렸으나 강력한 매수세로 종가까지 끌어 올려 만들어졌구요
상승추세와 하락추세에 나올때의 역할이 다르며 이름이 각각 달라집니다.
캔들이 만들어지는 과정 - 음봉
1. 장대음봉
꼬리없이 몸통이 꽉 찬 음봉의 경우 매도세가 매수세보다 강해 주가가 하락한 것을 의미하며 부정적인 신호로 간주
시가와 고가가 같고 종가와 저가가 같습니다.
3. 위꼬리장대음봉
종가와 저가가 같고 시가쪽에 꼬리가 달린 음봉의 모습이구요
중간쪽에서 주가가 시작됐는데 매수세가 들어와서 위로 들어 올렸다가 강한 매도세로 종가까지 훅 빠지는 상황입니다.
4. 아래꼬리장대음봉
시가와 고가가 같고 종가쪽에 꼬리가 달린 음봉의 모습입니다.
장이 열리자마자 매도세로 저가까지 밀렸는데 이내 매수세가 좀 들어와서 꼬리가 생긴 상황입니다.
5. 숏바디 음봉
시가와 종가쪽에 꼬리가 달린 모습, 고가와 시가와 종가와 저가의 위치는 각각 달라요
주가가 시작됐는데 고가를 터치했다가 매도세로 저가까지 밀렸다가 매수세가 들어와서 종가까지 꼬리가 달렸네요
가격이 엎치락 뒤치락 하다가 매도세가 이겼습니다.
바닥형에서 상승 전환 캔들
1. 망치형(hammer)
아래꼬리를 가지고 있고 몸통의 색깔은 의미가 없어요.
아래꼬리는 몸통의 두배 이상이 되어야 망치형이 완성됩니다.
하락국면 끝에서 나온다면 상승추세 전환 가능성이 있는 캔들로 단기하락시에도 유용한 모양이며 몸통이 작을수록, 꼬리가 길수록 매수세가 강하다는 것을 보입니다.
망치형 캔들이 등장하기 직전 캔들의 몸통이 적은 경우에는 더 잘 먹힙니다.
망치형캔들의 매수타이밍은 꼬리에서 분할매수로 들어가면 되고 꼬리 저점을 손절선으로 잡으시면 됩니다.
꼬리길이가 어중간한 망치형을 매수하다간 금방 고꾸라지는 현상이 발생할수 있으니 기왕이면 꼬리 긴걸 잡으세요
2. bullish belt hold
종가와 고가가 다르고 시가와 저가가 같은 캔들의 모양이네요
몸통의 길이가 길수록 상층 추세로의 의미가 더 단단해집니다.
3. 적삼병 캔들
종가가 점차 상승하는 양봉이 연속적으로 3번 이어집니다
상승 추세에서 마지막 쯤에 두세번째 양봉이 길면 과열로 진입할수 있습니다.
4. 상승장악형
두번째 양봉이 직전 음봉을 장악하는 모습입니다. 두번째 양봉에서 거래량이 많이 발생했다면 더욱 더 믿을수 있는 모습이죠. 장악형의 두 캔들 몸통 색깔은 달라야 하고 주로 두번째 캔들의 거래량이 더 많습니다.
지지선은 두번째 캔들의 저가가 됩니다. 지지선이 깨지면 기존의 하락추세는 이어집니다.
5. 상승잉태형, 상승십자잉태형
두번째 양봉과 도지가 첫번째 음봉에게 감싸이는 모습입니다.
상승잉태형보다 상승십자잉태형이 더 강도가 쎄다고 볼수 있습니다.
6. 상승반격형
두번째 양봉의 종가가 이전 음봉의 종가과 비슷한 모양새입니다. 하락잉태형보다 하락십자잉태형이 더 강토가 쎄다고 볼 수 있어요
7. 관통형
두번째 양봉 몸집이 좀 있고 첫번째 음봉을 관통하여 음봉의 절반 이상을 상향 돌파하는 모습입니다. 상향돌파하지 않으면 힘이 약해서 하락이 지속되는 패턴에 불과할껍니다.
8. 집게바닥형
하락 추세에 있던 첫번째 음봉과 두번째 양봉의 저점이 같은 모습입니다. 저점이 일치하는 캔들이 많아질수록 상승으로의 전환은 더 신뢰가 갈것입니다.
9. 사다리 바닥형 (Ladder Bottom)
하락추세가 3번 지속되자나 4번째때는 시가 위에서 거래가 이루어 졌을때 하락이 마무리 된다라고 생각해볼수 있는데요. 5번째캔들이 양봉이고 전캔들의 고점보다 높으면 상승전환이 더 뚜렷해진다구요
10. 3개이상 캔들모양
하락 추세의 바닥형에서 위와 같은 캔들 모양을 찾으신다면 상승전환을 할 가능성이 있어 더 집중해서 볼필요가 있습니다.
추세 천장쪽에서 하락 전환 캔들
1. 교수형캔들
하락추세 바닥형에서 보이면 망치형이라고도 하는데요 상승추세 천장형에서 나타나면 교수형이 되고 하락반전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우산형 캔들이라고도 부릅니다.
큰 상승폭이나 사상최고가를 기록한 다음 주로 나타나는데요 다음 나오는 캔들의 종가가 교수형의 몸통보다 낮게 마감이 된다면 하락추세전환은 더 돈독해집니다.
상승추세의 천장부분이 아닌 곳에서 교수형캔들을 발견한다면 다음 캔들의 마감가를 보면서 추이를 살피면 되고요
천장부분에서 장대양봉이 2개이상 나온 다음의 나오는 교수형은 더욱 조심해야 합니다.
2. bearish belt hold
고가와 종가가 같고 시가와 저가가 다른 밑꼬리 음봉의 모습인데요 천장에서 발견되면 무서운 캔들입니다. 몸통이 길면 길수록 하락 추세 전환이 더욱 견고해지죠
3. 흑삼병
시가가 점차 하락하는 음봉이 연속적으로 3번 이어집니다. 상승 추세에서 드물게 나타나는 캔들의 모양입니다.
4. 하락장악형
두번째 음봉이 이전 양봉을 장악하는 모습입니다. 첫번째 양봉 크기가 더 작을수록 두번째 음봉 크기가 더 클수록 하락 반전의 신호가 더 크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저항선은 두번째 음봉의 고가가 저항으로 작용을 하고 주로 두번째 음봉발생시 거래량이 더 많습니다
5. 하락잉대형, 하락십자잉태형
두번째 음봉(또는 도지형)이 첫번째 양봉에게 감싸이는 모습입니다.
6. 흑운형
두번째 음봉이 첫번째 양봉 고점보다 높은데서 시작해서 양봉의 절반 이하로 하향 돌파하면서 마무리 될때 의 모습입니다. 두번째 음봉이 이전 캔들인 양봉 몸통 깊숙이 들어갈수록 하락반전신호가 더 강해집니다. 두번째 음봉의 거래량이 많을수록 다음 캔들의 매수세는 증발해버릴 수 있으니 조심하세요
흑운형의 저항선은 두번째 음봉의 고가입니다. 다음 흐름에서 저항선을 돌파하지 못하면 하락반전되겠죠
7. 하락반격형
두번째 음봉의 종가가 첫번째 양봉의 종가와 비슷하게 될때의 모양입니다.
8. 집게천장형
상승추세에 있던 첫번째 양봉과 두번째 음봉의 고점이 같은 모습입니다. 고점이 일치하는 캔들이 많아질수록 하락으로의 전환은 더 신뢰가 갈것입니다.
9. 까마귀형
마치 까마귀가 나뭇가지에 앉아 아래를 내려다보고 있는 모양으로 까마귀형이라고 합니다.
비교적 긴 양봉이 나오고 나서 짧음 음봉이 두개 나오는데 이때 두번째 음봉은 세번째 음봉에 감싸이는 모습을 보이면 하락추세 전환이 더 명확해집니다.
10. 천장에서 3개 캔들모양
천장에서 다음과 같은 캔들모양을 한 것을 발견한다면 좀 더 유의있게 봐서 하락국면을 피해가시길 바랍니다.
실제 차트를 보면서 익히기는 다음 링크를 클릭하세요
https://www.youtube.com/watch?v=BUXj1Z8yEOQ
'차트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식 차트 보는 방법, 바닥 패턴 1편 5가지 (깃발형 등) (0) | 2023.08.12 |
---|---|
피보나치 되돌림으로 저점 찾는 방법 및 천장과 바닥패턴 알아보기 (0) | 2023.08.10 |
이동평균선 의미 및 이평선 활용 매수 매도 시점 (0) | 2023.08.04 |
추세선을 이용하면서 차트분석 하고 매매하는 방법 (0) | 2023.08.02 |
비트코인의 이해와 블록체인기술과의 관계 (0) | 2023.07.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