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트분석

이동평균선 의미 및 이평선 활용 매수 매도 시점

서아언 2023. 8. 4. 06:00

 

이동평균선 의미

이동평균선이란 일정 시간동안 주가의 평균되는 가격을 연결 한 선이라고 하고 단기이평선, 중기이평선, 장기이평선으로 나뉜다. 

 

 

  • 단기이평선 : 5일~30일
  • 중기이평선: 30일~100일
  • 장기이평선 : 100일 이상

 

  • 일주일(5일/7일): 주식차트는 5일 코인차트는 7일을 일주일고 하고 일주일선은 심리선이라 한다. 
  • 한달(20일/30일): 생명선
  • 3개월 (60일/90일) : 수급선
  • 6개월 (120일/180일) : 경기선or추세선
  • 1년 (240일/360일) : 대세선

 

 

 

이동평균선의 배열

 

 

 

정배열: 주가가 젤 위에 있고 7이평선 30이평선 90이평선 180이평선 365이평선이 정배열로 나타난 모습이다. 

상승추세때 나타나는 모습이다. 

정배열 초기부분: 차례대로 위로 오른다 7일선이 30일을 뚫고 30일이 90일을 뚫고 90일이 180을 뚫고 180이 365를 뚫으면서 정배열이 시작된다. 

 

 

 

 

 

역배열:  정배열의 반대모습을 하고 있다. 하락추세때 나타나는 역배열이다. 

역배열초기: 주가가 어느정도 상승했을때 차례대로 하향으로 돌파할때 인데 주가가 7일평선을 하향으로 뚫고 그 다음 7일이평선이 30일평선을 하향으로 뚫고 30일평선이 90일을 햐향으로 뚫고 서서히 뚫기 시작하면 아 이거 매도시점이다 하고 도망가야 한다. 

 

 

 

 

이동평균선 그랜빌의 법칙 8가지

 

그랜빌이 발견한 법칙인데 8법칙으로 이동평균선의 매매시점을 알려주었다. 200일 이평선 중심적으로 법칙을 내논것이라 대형주나 중장기때는 유용한데 변동성이 큰 소형주에는 잘 안먹히는 단점이 있다. 

 

관성의 법칙이란 주가가 움직이고 있는 방향으로 계속 진행하려는 성질

회귀현상이란 이동평균선 간의 이격이 크면 이를 줄이려는 성질이 있다. 

 

 

매수신호1. 

 

이평선이 하락하다가 각도가 유연해지면서 횡보 또는 상승국면으로 진입할때 주가가 거래량을 동반하여 위로 뚫고 올라가는 경우 

 

 

 

매수신호2

 

이평선은 상향인데 주가가 이평선을 하향 돌파 했는데도 이평선이 계속 상승하는 경우 

 

 

 

매수신호3

이평선 위에 있던 주가가 이평선 근처로 하락하다가 다시 상승하는 경우 

 

 

 

매수신호 4

 

 

 

하락하고 있는 이동평균선 밑방향으로 주가가 급락하고나서 반등할때는 되돌아오는 성질때문에 매수타점으로 볼수 있다. 

 

 

 

 

매도신호는 매수신호 1,2,3,4를 뒤집은 형태로 보면 된다. 

 

 

매도신호 1

 

이평선이 상승하고 있고 주가가 하락으로 진입할때 주가가 거래량을 동반하여 뚫고 내려온 상태

 

매도신호 2

 

이평선이 하락하고 있고 주가가 뚫으면서 올라갈때인데 거래량을 동반할떄는 상승추세로 전환하는 시점이 되기도 한다. 

거래량 없이 주가가 뚫리면 회귀본능이 있어 매도타점이 되는것

 

매도신호 3

 

이평선 아래에 있던 주가가 이평선 근처로 가다가 다시 하락하는 경우 

 

매도신호 4

 

상승하고 있는 이평선 윗방향으로 주가가 급격하게 튀어오르고 나서 내릴때 되돌아 오는 성질 떄문에 매도타점으로 볼수 있다. 

 

 

 

이평선의 지지와 저항

 

  • 이평선 위에 주가가 있는 경우 지지선이 되고 이평선 아래에 주가가 있는 경우 저항선이 된다.
  • 이평이 기간동안 매수한 가격의 평균인데 수익얻고 있는데 이평에 다다르면 손해를 보지 않기 위에 지지하려고 다시 매수를 해서 지지선이 되고 손해보다가 본전오면 매도하려는 심리때문에 저항선이 되는 원리다.
  • 이평선의 기간이 짧을수록 지지와 저항은 약하다. 그러므로  5일이평선이 200일 이평보다 지지와 저항이 약하다

  • 이평선이 지지역활을 하다가 뚫리면 저항선이 되고 저항 역할을 하다가 뚫리면 저항 역할을 하게 된다.

.

 

 

이평선의 골든크로스와 데드크로스

 

 

골든크로스 : 단기이동평균선이 장기 이동평균선을 상향돌파(횡보하거나 상승세에서만 성능이 좋다, 거래량도 포함해서 봐야 함)

데드크로스 : 단이이동평균선이 장기 이동평균선을 하향돌파

 

 

이격도

주가와 이동평균선의 간격을 이격도라 하는데 주가가 이평선에서 멀어지면 이평선으로 돌아오는 성질이 있다. 

20일 이평선 이격도 파악 : 105%이상이면 매도 95%이하 매수

60일 이평선 이격도 파악 : 115%이상이면 매도 85%이하 매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