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차트나 코인차트를 보다보면 아무리 초보라도 이게 하락형인지 상승형인지 방향은 파악할수 있습니다.
가격이 캔들고 캔들이 보여서 모양을 만들어내고 있는데요
일단 추세선을 그으려면 고점이나 저점을 2개 이상 이어서 줄을 그으면 추세선이 됩니다.
추세가 형성되면 추세를 유지하려는 습성이 있습니다.
추세선 긋는 방법
시장상황이 상승형일때는 매수세력이 더 중요하게 되니까 저점을 이어서 추세를 그어주면 된다.
바로 전에 나온 고점을 뚫어줘야 상승추세가 유지되는 것
방향이 하래로 향하는 차트, 즉 시장상황이 하락형일때는 매도세력을 중요하게 봐야하기 떄문에 고점을 쭉 이어주면서 추세선을 그리면 된다.
추세선의 지지와 저항의 변화
상승추세선의 지지가 이탈되니까 해당 추세선은 저항선이 되버리는 모습이다.
이처럼 추세선은 지지선이 될수도 있고 저항선이 될수 있고 선을 이탈 될때 추세선을 기준으로 끌어당기려고 하는 습성이 있기에 이를 이용하여 매매에 활용하면 된다.
지지선과 저항선 이탈시 예측할수있는 강도가 강함의 조건
거래량이 많으면서 지지선과 저항선을 뚫을때
단기보다는 장기적인 추세선일때
여러번 돌파의 시도가 있을때
추세선의 각도변경
추세선은 여러번 변한다. 추세선이 변경할때마다 추세선을 그어 각도를 확인해볼 필요가 있다.
상승추세선일때 완만한 추세선이 가팔라지는 경우 상승강도가 강해지는 건데 초반 부분에서는 매수타점으로는 좋으나 추세선이 가팔라지고 난 뒤에 매수를 하는것은 위험하다. 완만한 상태에서 가팔라 질때는 곧 고점이 다가오는 것임을 의미할수도 있기때문에 거래량과 rsi지표등을 보고 판단하여 수익 실현 후 빠져나와야 한다.
패러렐차트의 추세대 기법
주추세선과 보조추세선 돌파시 어떻게 되는지 알아보자
시장가격의 추세선을 그릴 경우 아래쪽과 위쪽으로 나란한 추세선이 그려지는 경우가 있는데 그럴때 추세대라고 말하는데 추세선을 따라 일정한 간격 안에서 움직일 때 그려진다.
시장상황이 상승세일 경우에는 저점을 이은 추세선이 주추세가 되고 하락세인 경우에는 고점을 이은 추세선이 주추세가 된다.
시장 가격이 주추세선을 이탈하느냐 보조추세선을 돌파하느냐에 따라 다른데 주추세선을 이탈하는 경우에는 현재의 시장방향에서 반대방향으로 갈 가능서이 많고 보조추세선을 이탈하였다면 지금까지 이어오던 추세가 더 강력해지는 신호로 볼수 있다.
위 그림과 같이 보조추세선을 이탈 되니 상승의 각도가 더 가팔라지면서 상승추세가 더 강화된 모습이 되었다.
상승장일때 상승추세선 주추세선이 이탈되지 않는다면 끌고 가보는것이 좋다.
하지만 시장 가격이 주추세선근처에서 흐지부지하게 또는 약하게 흘러간다면 주추세선 이탈가능성이 많아지니 지켜봐야 한다.
시장가격이 상단부(보조추세선)에서 맴돌고 있을때 상단부 돌파할 가능성이 있다.
위 그림과 같이 하락국면에 있던 주추세선이 이탈되니 방향 전환이 된 모습이다.
추세선을 이탈하면 얼마나 이탈되나?
횡보하는 추세선을 이탈한다면 횡보한 길이만큼 이탈되는 경우가 기본이고
상승추세선에서 하락으로 이탈한 경우 추세선 시작점에서 최고점까지만큼의 길이까지 조정이 될수 있다.
하락추세선에서 상승으로 이탈한 경우 역시 추세선 시작점에서 최저점까지 만큼의 길이까지 상승이 될 수 있다.
'차트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식 차트 보는 방법, 바닥 패턴 1편 5가지 (깃발형 등) (0) | 2023.08.12 |
---|---|
피보나치 되돌림으로 저점 찾는 방법 및 천장과 바닥패턴 알아보기 (0) | 2023.08.10 |
캔들차트 보는 방법 및 하락추세를 상승추세로 바꿔주는 캔들모양 (0) | 2023.08.06 |
이동평균선 의미 및 이평선 활용 매수 매도 시점 (0) | 2023.08.04 |
비트코인의 이해와 블록체인기술과의 관계 (0) | 2023.07.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