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라정보

조달청 입찰 나라장터 등록 전 확인해야 할 사항 입찰조건 보는 방법

서아언 2023. 7. 5. 13:45

 

 

조달청 입찰을 하려면 나라장터에 업체등록을 해야 입찰 볼수 있는데요

입찰을 하기 위해 업체등록 하는 비용이 넉넉하게 약 20만원 정도 됩니다. 

사업자범용인증서가 1년단위로 11만원 정도이고 입찰에 필요한 지문기계가 6~7만원 정도 하기 때문이죠

그래서 입찰을 보기 위해 업체등록 전 확인해야 할 사항은 바로 나라장터 입찰에 내 업체가 조건이 되는지 확인하는게 중요하죠 

나라장터 로그인하지 않아도 조건이 되는지 확인하는 방법을 알아보도록 해요

 

 

입찰공고찾기


 

인터넷에서 나라장터 검색을 하면 나라장터 홈페이지가 나옵니다 

나라장터 홈페이지로 들어가게 되면 메뉴 위에 입찰정보가 나오는데요

입찰정보로 클릭하고 들어갑니다

 

 

그러면 나라장터 화면에 요론 화면이 나오게 되는데요 

왼쪽에는 물품 공사 용역 리스 외자 비축 기타 민간 견적요청 계약진행현황 연기공고 메뉴가 나와있고

본문에는 입찰정보 검색이라는 메뉴가 나옵니다

검색유형도 나오고 업무, 공고명, 공고/개찰일에서부터 해서 공고종류까지 쭉 나와있는데 보이시죠? 

같이 접속해서 따라해보십시오

 

 

 

 

내가 만약 악기를 판매하는 업체라고 가정을 해보고 업무쪽에 물품으로 체크하고 공고명에다 악기라고 입력하고 검색을 해볼껀데요 이렇게 조건 설정을 한 후에 검색버튼을 눌러볼게요  악기에 대해 입찰 할수 있는게 있나 살펴보겠습니다. 

 

 

 

 

 

검색을 누르니 물품과 악기에 맞는 공고들이 쭉 나옵니다. 

공고번호, 분류, 공고명, 공고기관, 수요기관, 계약방법, 투찰하는 버튼까지 나와있어요

관심있는 공고가 보이면 그 공고명을 클릭을 하고 들어가봅니다.

 

 

 

입찰참여 조건 확인하기


 

 

해당 입찰공고에 대한 모든 내용이 나와있어요 

여기서 내 업체가 조건이 맞는지 확인하는거예요 

확인하기 전에 입찰마감기간부터 보고 마감기간 전까지 해당 조건에 대해 준비를 해놓아야 합니다.

 

 

 

 

 

 

[공고일반] 에는 입찰공고번호가 나와있는데요 

수요기관하고 미리 통화를 하셨을때 공고번호를 알아두시면 공고번호로 쉽게 해당 입찰을 찾을수 있어요

공고담당자와 집행관이 나와있잖아요 이 공고에 대해서 더 알고싶고 싶다거나 어떤것을 문의할때는 나라장터 고객센터가 아닌 이 담당자를 클릭했을때 나오는 전화번호로 문의를 해야 됩니다 고객센터는 이 공고를 낸 담당자의 의중을 알지 못하기 때문에 전확한 답변이 어려워요

계약방법이 수의(총액)소액-견적입찰로 되어있네요

혹시 수의계약의 조건을 알고자 하시는 분은 https://llmskll.tistory.com/11 포스팅을 읽어보시면 됩니다.

추정가격이 5천 만원 미만인 건이라 사전규격 미공개로 되어있구요 재입찰 허용하는 공고예요

 

 

 

 

[입찰집행 및 진행 정보]칸에서 중요한 날짜가 기재되어있네요

입찰마감일시와 개찰일시 그리고 입찰참가자격등록마감일시가 있습니다.

입찰참가자격등록이란 나라장터에 조달업체로 등록하는 것인데 반드시 입찰 보기 전에 등록(승인완료일시)을 완료해야 돼요 입찰마감일도 중요하죠 마감일 지나면 해당 공고에 입찰참여할수가 없습니다. 

개찰일시에 입찰공고의 결과가 나오게 됩니다. 

 

 

 

 

[투찰제한-일반] 탭에서는 투찰제한 요건이 나와있는데요 

위 공고는 지역제한을 걸어놨네요 인천광역시에 있는 업체에 한해서 접수를 받습니다. 주된 영업소재지(법인인 경우 본사 소재지)가 참가가능지역에 있어야 한다고 되어있습니다.

물품분류도 딱히 제한하지 않아서 분류를 딱 맞추지 않아도 되네요

 

 

 

해당 공고기관에서 이러한 물품을 구매한다고 적어논 구매대상물품 리스트예요

악기 말고도 서양복도 구매한다고 되어있네요

 

 

 

여기까지 보면 공고내용을 정확하게 파악하기 힘들어요

가장 밑에 보면 공공기관이 달아논 첨부파일이 있는데요 이 파일을 열어보셔야 자세한 공고내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반드시 파일다운받아서 읽어보시면 기초금액, 입찰방법, 납품장소, 입찰을 할수 있는 자격, 확인서 등이 더 자세하게 나와있어요 예정가격 및 낙찰자 결정방법이 상세하게 나와서 입찰 볼때 더 신중하게 할수 있습니다.